긴 설 연휴를 앞두고 전국적으로 독감이 유행하고 있답니다.
연휴 동안 내가, 혹은 가족이 아프면 어떻게 해야 할지 걱정되시죠?
서울시는 1월 25일부터 2월 2일까지를 ‘비상진료기간’으로 지정하고 비상의료체계를 강화한답니다.
집 근처 문 여는 병의원·약국 등 의료기관 현황을 확인하고 안전한 명절을 보내세요!
비상의료체계 강화
서울시는 의료 파업 장기화와 인플루엔자 유행, 명절 기간 응급실 내원환자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설 연휴(1.25.~2.2.)를 ‘비상진료기간’으로 지정해 비상의료체계를 강화했답니다.
-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4만 3천여 곳을 운영해요.
- 보건소와 시립병원 비상진료반도 운영한답니다.
- 인플루엔자 환자를 위한 발열클리닉도 운영해 신속한 진료를 제공할 예정이에요.
응급의료체계 24시간 운영
긴급한 환자를 위한 응급의료체계는 설 연휴에도 평소와 같이 24시간 운영한답니다.
-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31개소
- 지역응급의료기관 18개소
- 응급실 운영병원 21개소
총 70개소가 상시 운영된답니다.
보건소 및 시립병원 비상진료반 운영
서울시 25개 보건소와 7개 시립병원은 설 연휴 4일간(1.27.~30.) 권역별로 이틀씩 비상진료반을 운영한답니다.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동부병원, 서남병원 4개소는 24시간 응급의료체계를 유지하며 대응할 예정이에요.
설 연휴 서울시 및 자치구 응급진료상황실
연휴기간 : 2025.1.25.(토) ~ 2.2.(일) *1.31.(금) 제외
자치구 | 문의처 | 자치구 | 문의처 |
---|---|---|---|
서울시 | 2133-7515 | 중랑구 | 2094-0881 |
종로구 | 2148-3519 | 성북구 | 2241-5977 |
중 구 | 3396-6317 | 강북구 | 901-7607 |
용산구 | 2199-6300 | 도봉구 | 2091-4505 |
성동구 | 2286-7025 | 노원구 | 2116-4501 |
광진구 | 450-1300 | 은평구 | 351-8114 |
동대문 | 2127-5454 | 서대문 | 330-8909 |
마포구 | 3153-9125 | 양천구 | 2620-4340 |
구로구 | 860-2007 | 금천구 | 2627-2300 |
영등포 | 2670-3000 | 동작구 | 820-9459 |
관악구 | 879-7206 | 서초구 | 2155-8001 |
강남구 | 3423-7199 | 송파구 | 2147-3417 |
강동구 | 3425-6655 | ||
구급상황 관리센터 |
119 | 다산콜 센터 |
120 |
경증환자를 위한 문 여는 병의원·약국 운영
시는 설 연휴 8일 동안 시민들이 원활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루 평균 5,400여 개소(병의원 3,500개소·약국 1,900개소)의 문 여는 병의원·약국을 운영한답니다.
응급실 과부하를 줄이고, 경증 환자가 쉽게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에요.
야간·휴일 진료가능 병의원 및 동네 문여는 병의원 리스트
연휴 기간 ‘문 여는 병의원, 약국’에 대한 정보는 서울시 ‘2025 설 연휴 종합정보’ 누리집, 25개 자치구 누리집, 응급의료포털, 네이버 지도, 카카오맵에서 확인할 수 있답니다.
모바일 앱 ‘응급의료정보제공(e-gen)’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며, 국번 없이 120(다산콜센터), 119(구급상황관리센터)로 연락하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응급실 이용이 어려운 경증 환자를 위한 지원
응급실 이용이 어려운 경증 환자의 긴급한 야간 진료를 지원하는 서울형 긴급치료센터(UCC) 2개소와 질환별 전담병원(외과계) 4개소도 연휴 기간에 정상 운영한답니다.
소아 환자를 위한 ‘우리아이 안심병원’ 8개소(준응급), ‘우리아이 전문응급센터’ 3개소(중증응급)도 24시간 운영된답니다. 경증 환자는 ‘우리아이 안심의원’ 10개소, ‘달빛어린이병원’ 14개소에서 진료받을 수 있답니다.
호흡기감염병 환자 신속대응 발열클리닉 운영
시는 인플루엔자, 코로나19 등 호흡기감염병 환자의 신속한 진료를 위해 발열클리닉(야간, 공휴일 호흡기 증상 환자 진료), 협력병원(중증, 중등증 및 경증 환자 진료)을 운영한답니다.
코로나19 치료제 처방 현황과 수급 관리도 강화해 지역사회 감염병 전파를 차단할 계획이에요.
안전상비 의약품 구매
소화제, 해열진통제, 감기약, 파스 같은 ‘안전상비 의약품(13개 품목)’은 편의점 등 안전상비 의약품 판매업소 7,168곳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답니다.
판매업소는 서울시 ‘2025 설 연휴 종합정보’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값 당근 구매 방법 어디서? (0) | 2025.01.24 |
---|---|
헬스장·수영장 이용료도 연말정산으로 돌려받는다 (0) | 2025.01.23 |
만40세~67세 서울 중장년 가치동행일자리 신청하세요! (1) | 2025.01.22 |
2025 연말정산 월세 세액공제 소득공제 총급여 종합소득금액 알아보자 (0) | 2025.01.15 |
2025년 자동차세 연납 이렇게 납부하세요! (0) | 2025.01.09 |